java

Java/자바의 정석

[JAVA] 클래스와 객체(인스턴스)

실제 사물의 속성과 기능은 각각 변수와 메서드로 추상화되어 클래스에 정의된다. 각 클래스를 구체화한 것이 객체이다. 자주 나오는 예시로는 붕어빵 틀(클래스)과 붕어빵(객체)이 있다. 클래스와 객체(인스턴스) 클래스 객체(인스턴스) 정의 실제 사물의 속성과 기능을 추상화해 정의해 놓은 것 객체의 틀 역할을 함 실제로 존재하는 것 클래스에 정의된 대로 메모리에 생성됨 용도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 객체의 기능과 속성에 따라 다르게 사용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. 인스턴스와 객체는 같은 의미지만, 객체가 좀 더 포괄적인 느낌이라면, 인스턴스는 어떤 클래스부터 만들어진 객체인지 강조하는 구체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. 클래스의 정의 클래스를 정의할 때 사물의 속성은 멤버변수로, ..

CS/Algorithm

[Algorithm] 유클리드 호제법: 최대공약수/최소공배수 계산하기

유클리드 호제법(Euclidean algorithm)은 두 정수의 최대 공약수를 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. 왜 공식이 아니라 알고리즘인가 했는데, 값을 구하기 위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단계의 절차를 밟아 계산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. 기원전 300 원경에 나와서 지금까지 쓰이는 중이다. 이후 나올 약어들만 정리하고 가자면: \(GCD\): Greatest Common Divisor. 최대공약수 \(LCM\): Least Common Multiple. 최소공배수 유클리드 호제법: 최대공약수 계산 유클리드 호제법이 성립하기 위한 정리는 다음과 같다. 2개의 자연수 \(A, B\) 에 대해 \(A\)를 \(B\)로 나눈 나머지를 \(R\)이라 하자. \((A \geq B, 0 \leq R < B)\)..

teamzamong
'java' 태그의 글 목록